본문 바로가기
건강 상식

신의 눈물이라 불리는 와인의 효능과 부작용

by 장똘 2022. 11. 21.
반응형

'신의 물방울'이라는 만화책을 본 적이 있으신가요?

내용을 보면 어마어마한 유산을 받기 위해 신의 물방울이라 불리는 와인을 맛으로 찾아내야 하는 것이 주 내용입니다

이 만화의 인기에 힘입어 덩달아 와인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났다고 합니다

 

예전엔 '와인을 마신다'라고 하면 약간의 편견이 있었습니다

와인이라는 술이 익숙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제품이 많다 보니 주머니 사정이 가벼운 사람들이 즐기기에는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요즘엔 동네 마트나 편의점에서도 쉽게 와인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 정도로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었고 저렴한 와인이 많아져 주머니가 가벼운 사람도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와인이란?

와인은 포도의 즙을 발효시켜 만든 술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쌀을 이용해 술을 만들었듯이 서양에선 포도를 이용해 술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로 와인입니다

 

와인은 색에 따라 화이트 와인, 레드 와인, 로제 와인으로 나뉩니다

각 와인의 제조 과정이 달라서 맛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먹는 음식에 따라 와인이 바뀌기도 합니다

화이트 와인

주로 청포도 품종으로 제조되지만 드물게 적포도 품종으로 제조되기도 합니다

제조 과정은 먼저 포도를 짧은 시간에 압착하여 조심스럽게 껍질을 벗겨내 맑은 포도즙을 얻어 냅니다

화이트 와인 제조 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인데 이 과정을 어떻게 처리했느냐에 따라 와인의 품질이 달라집니다

그 후 레드 와인과는 다르게 침용 과정을 거치지 않고 보통 12~24시간의 정제 과정을 거쳐 윗부분의 맑은 부분만 사용하여 발효시킵니다

발효 후 15~18˚ C의 저온 발효하는데 이유는 액체가 너무 빨리 발효가 되면 맛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침용 과정 : 포도의 껍질에는 적포도주의 색을 만드는 색소와 타닌, 페놀이 함유되어 있는데 머스트와 접촉함으로써 필요한 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레드 와인보다 과일 맛이 강해 맛이 가볍고 청량하기 때문에 와인 초보자들에게 편안 와인입니다

특히 당도가 높은 제품의 대부분이 화이트 와인이기 때문에 초심자들이 달콤한 맛에 즐기기 편합니다

 

식사에 곁들일 때는 주로 생선요리에 쓰인다고 알려졌지만 익히지 않은 해산물이라면 비린내가 심해지니 주의해야 합니다

이는 운송, 냉장 시설이 좋지 않던 시절에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해 레몬즙을 뿌리고 와인을 곁들인 것으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해산물을 즐겨 먹는 이탈리아 남부나 그리스 같은 나라에서 이와 같은 이유로 화이트 와인을 만들었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프랑스 요리나 이탈리아식으로 요리하여 충분히 익힌 생선요리의 경우 비린내도 많이 죽은 편이고 다른 재료의 풍미도 강하기 때문에 이때는 화이트 와인과 충분히 어울릴 수 있습니다

레드 와인

레드 와인은 적포도를 원료로 하여 껍질과 씨, 알맹이를 모두 사용해 제조한 붉은빛의 와인입니다

화이트 와인과 달리 껍질과 씨를 거르지 않고 제조되어 껍질과 씨에 포함된 타닌 성분이 특유의 떫은맛을 내고, 껍질의 안토시아닌으로 인해 적색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레드 와인은 프랑스인들이 고지방식을 하고도 심장병 사망률이 낮다는 보고에서 비롯된 ' 프렌치 패러독스'이후 레드 와인의 생리 활성물질이 연구되었습니다

레드 와인의 타닌 성분은 천연 항산화 작용과 심혈관질환 예방 작용을 하며, 안토시아닌은 항혈전 작용, 비만 억제, 대사증후군 예방, 시력 보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레드 와인은 일반적으로 육류 요리, 무거운 음식, 맛과 향이 강한 음식과 잘 어울립니다

다시 말하면 오래 씹어야 하는 음식, 물기가 없는 음식, 원재료의 맛이나 소스가 강렬한 음식에 잘 어울립니다

로제 와인

약한 붉은빛, 장밋빛이 도는 와인이며 블러시 와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채도가 낮은 황색 빛의 화이트 와인, 진홍빛 혹은 핏빛 수준으로 붉은 레드 와인과 달리 로제 와인은 아름다운 색감 때문에 와인을 갓 입문한 사람, 특히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로제 와인은 핑크빛을 기본으로 옅은 살구색,  오렌지색까지, 빈티지와 숙성기간 그리고 만들어지는 지방에 따라 색과 맛이 천차만별로 달라집니다

 

로제 와인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화이트 와인과 레드 와인 원액을 일정한 비율로 섞은 뒤 숙성하는 방법으로 긴 숙성이 필요하지 않은 로제 와인을 만들 때 주로 쓰입니다

두 번째는  침용법으로 레드 와인을 만들 듯 적포도를 껍질째 넣어 침용한 뒤 진한 색이 우러나오기 전에 껍질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두 번째 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청포도와 적포도를 껍질째 침용한 뒤 껍질과 씨와 과즙을 함께 발효시키다 껍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양조법입니다

 

숙성 기간과 보존 기간이 짧기 때문에 가볍고 산뜻한 맛을 내는 것이 로제 와인만의 매력입니다

로제 와인은 와인계의 팔방미인으로 불리는데 화이트 와인과 레드 와인의 장점을 고루 갖추고 있어 서양 요리는 물론 한식에도 잘 어울립니다

여러 음식 사이에서 중간 다리 역할을 톡톡히 하고, 특히 반찬과 메인 식사를 한 상에 늘어놓고 먹는 한식 정찬에도 무척 잘 어울립니다

와인의 효능

와인은 여느 종류의 술보다 영양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비타민과 무기질은 물론이고 살균 작용으로 인해 위장 치료에 효과가 있는 타닌 성분 등 인체에 이로운 여러 성분이 와인 속에 들어있습니다

 

와인의 효능에 관해 얘기할 때 가장 먼저 나오는 이야기는 '프렌치 패러독스'입니다

육류와 버터 등 지방 섭취량이 많은 프랑스인이 미국인보다 심장질환 발병률이 크게 낮았는데 그 이유가 프랑스인이 식사 시간에 항상 곁들이는 레드 와인 때문이라고 주장합니다

와인 속에 있는 폴리페놀 성분이 항산화제로 작용하여 심장병과 동맥 경화를 예방하고 노화를 방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화이트 와인에는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뇨 작용에 좋습니다

또 약 0.5% 정도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어 식욕 증진 효과 및 장내 세균의 균형을 조정하는 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또한 레드 와인은 모든 질병의 원인인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활성산소는 생체에 장애를 주면서 각종 질병, 암, 노화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레드 와인은 항암 효과, 고혈압 및 비만 억제, 치매 및 퇴행성 질환의 예방 등 거의 모든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와인의 부작용

술 때문에 오는 두통은 대부분 숙취 때문에 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주 작은 양이라도 레드 와인만 마시면 머리가 깨질 듯한 두통을 나타내는 증상이 생길 수 있는데, 이것을 '레드 와인 두통'이라고 합니다

레드 와인 두통의 원인물질에 대해 여러 가지 주장이 있는데, 레드 와인에 많이 포함된 타이라민 성분이 강력한 두통 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타이라민은 아드레날린과 비슷한 교감신경 흥분 작용을 하여 심박수와 혈압을 높여 두통을 유발하는데 레드 와인 외에도 치즈, 가공 육류, 많이 익은 바나나, 통조림 수프, 초콜릿, 콩 소스 등에도 들어있습니다

 

레드 와인 두통의 또 다른 원인물질로 히스타민 성분이 지목되기도 합니다

레드 와인에 함유된 히스타민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은 몸속에 특정 효소가 없어 알코올을 섭취했을 때 두통을 유발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